메탈월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
E: 2010.7.27 화 11:36
기사 (전체 548건)

·[핫이슈] 주요 조합 정기총회 내용 살펴보기 < 03월 231 호 >

최근 비철금속 업종과 관련 있는 주요 중소기업협동조합들이 정기총회를 개최하며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거나 경영 위기 속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올해 조합 정기총회에서 다뤄진 내용을 살펴보았다. 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한국다이캐스트

·[핫이슈] 해외자원개발 지원사업 내용은? < 03월 231 호 >

한국광해광업공단(이하 KOMIR)은 2월 19일 오후 1시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2025년도 해외자원개발 지원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는 200여 명의 기업과 개인이 참여했으며 KOMIR는 해외자원개발조사, 매칭서비스

·[핫이슈] 폼넥스트 2024 보고대회 살펴보기 < 02월 230 호 >

3D프린팅연구조합(이사장 이조원)은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세미나실1에서 폼넥스트(FORMNEXT) 2024 보고대회를 개최했다.2024 폼넥스트는 지난해 11월 19일부터 22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메세에서 열렸으며 적층제조 관련 소재·장비·소프트웨어

·[핫이슈] 알루미늄 압연 투자에 나선 알코, ‘제2의 광양알루미늄 사태’ 일어나나? < 02월 230 호 >

최근 알루미늄 코일 및 판 제조 기업인 알코가 알루미늄 코일 및 판을 생산한다고 밝히자 업계에서는 제2의 광양알루미늄 사태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알코는 지난해 12월 19일 열린 ‘2024 투자기업인 밤’

·[핫이슈] 국내 비철 BIG 3 ESG 경영 성과는? < 01월 229 호 >

2024년에도 국내 비철업계는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며, ESG 경영 실적 개선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런 국면 속 국내 비철업계를 대표하는 BIG 3, 풍산, LS MnM, 고려아연도 저마다 수립한 전략을 통해 상생 경영체로서의 위신을 높였다. ■ 풍산

·[핫이슈] 알루미늄 캔투캔 재활용 활성화 이유는? < 12월 228 호 >

알루미늄 스크랩의 해외 유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캔투캔(can-to-can) 재활용이 30%대에 불과함에 따라 노벨리스코리아(대표 박종화)와 한국비철금속협회(회장 박우동)가 캔투캔 재활용 활성화에 힘을 쓰고 있다.알루미늄은 순도 관리가 용이하고 합금보다

·[핫이슈] 고려아연 경영권 이슈 결국 표대결로 이어질 듯 < 11월 227 호 >

고려아연 경영권을 놓고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과 영풍·MBK파트너스(이하 MBK) 연합이 주식 공개 매수전을 벌인 결과, 양측의 지분율이 차이 3%포인트 가량이 됐다. 수조 원 단위의 자금이 동원된 공개매수 싸움을 통해서도 양측 모두 확

·[핫이슈] 대기업 계열사 JCR ROD 시장 진출 여파는? < 10월 226 호 >

군산에 공장을 짓고 있는 LS전선의 자회사 한국미래소재가 동박용 구리 신소재 사업 외에 전선용 소재인 JCR ROD를 만드는 재생동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미래소재는 연말 가동을 목표로 FRHC(Fire-Refined High Condu

·[핫이슈] 고려아연, 산업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프로젝트 총괄 < 09월 225 호 >

고려아연(회장 최윤범)이 국내외 산·학·연과 손잡고 리사이클링 원료와 저탄소 공정을 접목해 친환경 ‘고순도 황산니켈’을 제조하는 기술개발에 착수했다. 고순도 황산니켈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다. 해당 공정 개발에 성공

·[핫이슈] 동스크랩 밀수출 단속했다는데, 실효는? < 09월 225 호 >

세관 당국이 중국으로 동스크랩 1천억 원 상당의 물량을 탈법으로 밀수출한 업체들을 잡아냈지만 후속 조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적발된 업체들이 여전히 영업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청 부산세관에 따르면 경기 화성·평택, 경남 김해,

·[핫이슈] 중국 동제련 감산 지속 여부는? < 08월 224 호 >

중국의 동제련소 두 곳이 내년에도 생산량을 줄일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동광석 공급과 제련 생산능력 불균형으로 인해 가공 이윤이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정광 공급 부족 상황이 이이저고 있어 중국 제련업계 전체적으로 추가 감산이

·[핫이슈] 석포제련소 생산 정상화 지연 수급 영향은? < 07월 223 호 >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을 배출 등 물환경보전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경북북도청이 석포제련소에 대해 내린 60일 조업정지 처분이 적법하다는 판단이 2심에서도 유지됐다. 이로 인해 영풍의 피해는 물론 국내외 아연 수급에도 타격이 예상된다.지난 6월 28일

·[핫이슈] 비철금속 가격 과열 양상 … 향후 움직임은? < 06월 222 호 >

광산 공급 차질과 중국 제련소 감산 등에 힘입어 상승 랠리를 전개해온 전기동 가격이 지난달 톤 당 1만 달러를 돌파했다. 비철금속 대장주 역할을 하는 전기동 가격의 상승 랠리에 힘입어 나머지 메이저 금속 가격도 동반하여 상승장을 연출했다. 특히 사상

·[핫이슈] 고려아연-영풍 갈등 골 깊어져 < 05월 221 호 >

고려아연과 영풍이 고려아연 경영권을 둘러싸고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사실상 양사의 동행 관계는 종료되었고, 아름다운 이별만 남겨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오랜 동업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이별로 종결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

·[핫이슈] 알루미늄 탄소중립 및 기술 심포지엄 중계 < 05월 221 호 >

■ 알루미늄 탄소중립 심포지엄대한금속·재료학회가 지난달 24일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창원컨벤션센터 Room 700B에서 알루미늄 탄소중립 심포지엄을 개최했다.먼저 강희삼 현대자동차 AVP(Advanced Vehicle Platform)본부 기초소재연구센

·[핫이슈] 전기동價 다시 1만 달러대 진입 가능한가? < 05월 221 호 >

2분기가 시작되면서 비철금속 시장과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 주목되고 있다. 특히 비철금속 대장격인 전기동 가격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미국 연준 주도의 긴축 종료와 주요국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확대되고 있으나 비철금속 수요 전망에서는 아직까지

·[핫이슈] 韓다이캐스팅학회, 제9회 학술대회 성료 < 04월 220 호 >

한국다이캐스팅학회(회장 천정권)가 4월 3~4일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제8홀 컨퍼런스룸 B에서 제9회 학술대회를 개회했다.3일 열린 개회식에서 천정권 한국다이캐스팅학회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제9회 춘계학술대회는 기가캐스팅과 중소

·[핫이슈] 경영권 갈등 표면화 된 고려아연-영풍 < 04월 220 호 >

75년 동업 역사상 처음으로 동업자 가문 간 경영권 분쟁이 표면화 된 고려아연의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요 안건별로 찬반이 엇갈렸다. 결산 배당금 지급 안건은 고려아연의 원안대로 가결된 반면에 정관 개정 안건은 영풍의 의견대로 부결됐다.지난 3월 19일

·[핫이슈] 최근 비철금속 수급 이슈 점검 < 03월 219 호 >

시중에 동스크랩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발생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입도 줄면서 공급 부족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 이면에 여전히 탈법적인 중국 수출이 이어지는 점을 지목하고 있다.신동업계에 따르면, 최근 원료인 동스크랩 구매 어려움이

·[핫이슈] 중국, 리튬 원료 개발 탄력 받나? < 02월 218 호 >

최근 중국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리튬 광산이 발견됐다. 탄산리튬 등 리튬 제품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원료 광석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지 관심이 쏠린다.중국 자연자원부는 지난 1월 17일에 쓰촨성 간즈주 야장현(甘孜州 雅江縣)에서 100만 톤(Li₂O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맥킨지 “2030년까지 배터리 원자재
인도네시아, 2025년 니켈 할당량
알멕,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으로 벌금
SMM “올해 글로벌 알루미나 수급
비츠로셀, 피에트로와 167억 원 규
고려아연-LG 합작 한국전구체, 전구
고려아연, 황산니켈 관련 제조기술 ‘
“한국, 적층제조 장비 보유 세계 6
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 올해 온실가스
銅 시세 하락에도 칠레 동 매출 증가
꾸준함의 기술
무엇 하나 꾸준히 못 하는 나를 위한 끈기 부스터! 화제의 ‘괴물 루틴’ 주인공이 공개하는 꾸준함의 기술. 시작은 창대하나 매번 계획이 흐지부지되기 일쑤라면 주목...
마케팅을 찢다
고객은 어떤 채널에서 어떤 콘텐츠를 소비할 것인가? 그들은 어떤 심리적 요인에 의해 움직이는가?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모든 행동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
침묵의 장기 ‘간’·증상없는 ‘간암...
침묵의 장기라고 불리는 간은 질환에 노출되어도 초기 증상이 없기로 유명하다. 간암도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
회사소개기사제보광고안내불편신고개인정보취급방침청소년보호정책이메일무단수집거부  
(137-070)서울 서초구 명달로 120 S&M빌딩 5~7층ㅣ Tel : 02-583-4161 ㅣ Fax : 02-584-4161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00017 ㅣ 발행인 : 배장호 ㅣ 편집인 : 배장호 ㅣ 편집국장 : 김도연 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민호
Copyright 2010 메탈월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nm@snmnews.com